농사 정보

라오스 커피산지

도보사랑 2017. 6. 8. 15:33
라오스 커피, 새로운 명품 커피의 탄생?
2012-05-10 김지민 라오스 비엔티안무역관

 

라오스 커피, 새로운 명품 커피의 탄생?

- 라오스 제5대 수출품목인 커피 -

- 커피 재배 관련 현대적인 기술 부족이 맹점 -

- 커피제국 한국에 새로운 시장이 될 수도 -

 

 

 

□ 주요 상품작물로 각광받는 라오스 커피

 

 ○ 커피는 라오스의 주요 수출품목 중 하나로 라오스 커피위원회(Lao National Coffee Board)에 따르면 2010년 라오스의 커피 수출량은 1만8000톤, 이로 인한 수익은 3400만 달러이며, 2011년에는 2만1000톤 수출, 500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함. 수요 수출국은 프랑스, 독일, 폴란드 등의 EU와 베트남, 태국, 한국, 일본 등임. 라오스 연간 커피 생산량은 약 3만5000톤으로, 이는 이웃국가이자 세계 제2위 커피 수출국인 베트남의 연간 커피 생산량인 약 80만 톤의 23% 수준이며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0.25%에 해당함.

 

라오스 주요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순위

품목명

2007-2008

2008-2009

2009-2010

2010-2011

1

구리

621,267

414,714

851,627

615,846

2

기타 광물

N/A

N/A

N/A

403,475

3

전력

97,134

274,593

288,997

178,430

4

의류

255,011

141,705

167,304

141,620

5

커피

15,428

13,821

19,856

67,158

6

133,325

83,977

119,383

43,613

7

설탕

N/A

1,356

18,819

31,998

8

규소

N/A

N/A

17,986

22,478

9

다이아몬드

27,671

15,824

12,735

17,024

10

옥수수

N/A

21,772

73,811

16,402

전체 수출액

1,307,460

1,124,403

1,788,938

1,856,360

 

자료: Ministry of Industry & Commerce

주: 1) 라오스의 회계연도는 매년 10월부터 다음해 9월까지임.

     2) 라오스는 통계가 매우 빈약해 상기 수치도 공개된 자료가 아니라 라오스 상공부에서 별도로 입수한 자료로, 다른 통계와 수치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나 주요 수출품목이 무엇인지는 참고할 수 있음.

 

 ○ 라오스 정부는 커피를 주요 상품작물로 육성시켜 국가 빈곤 완화에 기여하기를 희망하며 라오스 커피 산업에서 지금보다 더 큰 잠재력 발견이 가능하다고 판단함. 따라서 커피 산업이 더 큰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라오스 커피가 국내외 시장의 니즈를 만족시키고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수적인 과제라고 밝힘. 라오스 커피위원회는 2012년 5월 말 커피 재배농가, 커피 유통업자들을 대상으로 수도 비엔티안에서 ‘라오스 커피사업 발전을 위한 전략 수립’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할 계획임.

 

 ○ 커피의 품종은 주로 3종류로 원산지가 아프리카 에티오피아인 아라비카, 콩고인 로부스타(Robusta), 라이베리아인 리베리카(Liberica)이며 이들은 각각 전 세계 커피 품종의 75%, 25%, 1%를 차지함. 라오스의 커피 리서치 익스피리먼트센터(the Coffee Research Experiment Centre)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라오스는 아라비카 종이 전체 라오스 커피 재배량의 12%, 로부스타 종이 88%를 차지함. 아라비카는 단맛, 신맛, 감칠맛 그리고 풍부한 향을 가진 고급원두로 불리며, 로부스타는 주로 인스턴트 커피에 사용됨.

 

 ○ 라오스에서는 아라비카와 로부스타 종 외에도 희귀품종인 루왁 커피(Kopi Luwak)가 생산된다는 특이점이 있음. 루왁 커피는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커피로 사향 고양이의 배설물에서 커피 씨앗을 채취해 가공하는 세계적으로 가장 비싼 커피로 유명함.

 

 ○ 라오스에는 총 5만ha의 커피 플랜테이션 농지가 있으며, 주요 커피 경작지는 남부지방의 참파삭주, 사라완주, 세콩주 등임. 라오스 전체 커피 재배량 중 95%가 참파삭주의 팍송 지역에서 재배되며, 특히 라오스 커피 최대 산지인 참파삭주 팍송 지역의 볼라벤 고원은 100년이 넘는 커피 재배 역사를 지녔을 뿐만 아니라 비옥한 화산토와 연중 풍부한 강수량, 해발 1300미터 고지대로 서늘한 기후 등 커피 재배에 이상적인 자연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고 평가됨.

 

 

 

라오스 지역별 커피 경작면적과 생산량

지역명

영문명

경작면적(ha)

생산량(ton)

2009

2010

2009

2010

참파삭

Champasack

27,400

29,650

28,745

31,940

사라완

Saravane

20,390

15,885

14,205

11,080

세콩

Xekong

4,515

4,425

2,980

2,295

아타푸

Attapeu

-

450

-

540

루앙프라방

Luangprabang

-

105

-

260

시엥쿠앙

Xiengkhuang

65

65

60

170

퐁잘리

Phongsaly

15

15

5

5

우돔싸이

Oudomxay

45

-

40

-

 

자료: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주: 본 표에 나타나지 않은 지역은 커피를 재배하지 않는 주임. 라오스는 통계수치가 빈약한 나라로 수치 또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나 주요 커피 경작지 파악에 참고가 될 수 있음.

 

라오스 커피의 높은 잠재력을 활용할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실정

 

 ○ 라오스의 커피 재배인구는 약 2만 명이나 대부분이 영세농으로 가족단위의 소규모 생산에 머무름. 라오스 커피의 약 80%가 소규모 농가에서 생산되는데, 이들은 커피 재배 관련 현대적인 경작 기술이 없어 생산성 향상과 고품질의 커피 생산에 어려움을 겪음. 또한 라오스 커피위원회의 산하기관인 라오스 커피협회의 한 관계자는 이와 같은 전문적인 기술 부재로 라오스 커피 재배는 기후 변화에 매우 취약하며 3년 주기로 경작량에 변화가 있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밝혔음.

 

 ○ 고품질 커피 생산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라오스 커피농가들은 라오스 전체 커피 생산량의 88%를 차지하는 로부스타 종에서 더욱 부가가치가 높고 생산성이 높은 아라비카 종으로의 품종 개량에 힘씀. 아라비카 종으로의 품종 개량은 라오스 농가 수입향상에 큰 힘이 될 것이라 예상됨.

 

□ 라오스 최대 커피 제조업체, DAO HEUANG COFFEE

 

 ○ DAO HEUANG COFFEE는 1991년 설립된 다오 흐앙 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로 1998년 시작한 라오스 커피 사업을 주축으로 현재 라오스 증권시장 상장을 추진 중인 라오스의 대표적인 기업임. 다오 흐앙 커피는 커피 생두, 커피 반제품 및 완제품과 자체 공장에서 생산한 인스턴트 커피, 커피용 프림, 설탕 등 각종 커피 관련 제품을 판매하는 라오스 최대 커피 제조업체임.

 

 ○ Leuang Litdang 다오 흐앙 그룹 회장에 의하면 다오 흐앙 커피에서 생산되는 커피의 70%는 국내 시장에 판매되고 나머지는 해외로 수출됨. 다오 흐앙 커피는 참파삭주 팍송지역의 볼라벤 고원에 위치한 600ha 규모의 직영농장 통해 매년 5000톤의 커피를 생산, 공급받으며 나머지 공급분에 대해서는 2만3000명의 개인 커피농들이 재배하는 3만4000ha 범위의 커피 농장들과 계약 재배를 통해 커피를 매수함.

 

 

 

□ 라오스 토종 카페 브랜드, SINOUK CAFÉ

 

 ○ Sinouk Coffee는 1993년부터 팍송 지역에서 커피 판매 사업을 시작으로 2007년 라오스 최초 토종 커피 브랜드인 Sinouk Café 1호점을 개설했으며 그 외 커피 생산지를 중심으로 리조트 사업을 벌임. 시누크 카페는 팍세(Pakse) 지역에 1호점, 수도 비엔티안에 2, 3호점이 있으며, 팍송 지역 볼라벤 고원에 위치한 65ha 규모의 자체 커피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재배한 커피로 만든 커피를 판매함.

 

 ○ 시누크에서 생산하는 5가지 커피 제품(Royal Palace, That Luang, Vat Xienthong, Vat Phou, Patuxay)은 라오스의 주요 유적지 이름을 딴것으로 유명함.

 

 ○ 라오스 커피협회의 회장을 역임하기도 한 시누크 카페의 회장인 시누크 시솜밧 씨는 라오스는 커피 종류가 적기 때문에 라오스의 커피 농부들이 국제적인 커피 생산 시장으로 나아가는 최상의 지름길은 오가닉 라벨을 획득하는 것이라고 강조함. 실제로 시누크 커피는 EU, 태국, 라오스 정부에서 유기농 인증을 받음.

 

 

 

 ○ 또한 Sinouk Café Lao Co., Ltd는 한-아세안센터의 주최로 2009년 코엑스에서 개최된 ‘푸드위크 2009’의 아세안 식·음료전(ASEAN Food & Beverage Exhibition)에서 비어라오(Beer Lao)를 생산하는 Lao Brewery Co., Ltd.와 함께 라오스를 대표하는 식음료 기업으로 소개되기도 함.

 

 ○ 그 외 라오스에는 대표적으로 라오스에 3개 지점이 있는 Joma Bakery Café, 2개 지점이 있는 태국 프랜차이즈 브랜드 True Coffee, 마찬가지로 태국 브랜드이며, 2012년 5월 라오스에 진출한 Blank Canyon Coffee 등의 대형 카페 브랜드가 있으나 브랜드 커피샵보다는 소규모 개인 카페들이 주를 이룸.

 

 

 

□ 커피공화국 한국의 입맛 사로잡을 라오스 유기농 커피

 

 ○ 커피는 우리나라에서는 재배가 불가능한 열대성 특정지역의 농작물로 우리나라는 커피를 전량 수입하며 식약청에 따르면 한국의 커피 수입국 총 83개국 중 상위 3개 국가인 베트남(38%), 브라질(15%), 콜롬비아(11%)에서 수입하는 커피가 전체의 68%를 차지함. 한국의 커피 수입금액은 2011년 기준 6억 달러를 초과해 10년 전인 2001년의 8000만 달러에 비해 8배나 증가하는 등 커피에 대한 한국인의 남다른 애정과 함께 커피 관련 사업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임.

 

 ○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볼 때, 한국의 라오스 커피 수입 증가세도 지속될 것임. 한국의 대라오스 수입 품목 중 커피는 항상 상위에 랭크되는 주요 품목이며, 절대적인 금액은 크지 않지만 2010년 462.9%, 2011년 484.2%라는 주목할만한 수입 증가율을 보임. 게다가 라오스의 유기농 커피는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는 최근의 분위기에 부합하며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상품임.

 

한국의 대라오스 품목별 수입 현황

 (단위: 천 달러, %)

순위

품목명

2010

2011

2012(1~3월)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1

기타 목재류

1,342

57.5

1,440

7.3

835

221.9

2

커피류

58

462.9

338

484.2

204

29,371.7

3

제재목

215

-25.3

1220

467.1

88

-

4

편직제의류

95

50.0

207

119.1

73

-37.5

5

직물제의류

178

29,554.7

176

-1.5

36

-67.1

6

목제생활용품

94

7.7

126

34.5

24

16.9

7

기타 가구

8

-18.5

6

-26.2

6

127.3

8

자동차부품

-

-

0

-

3

-

9

화장품

-

-

0

-

3

-

10

기타 섬유제품

2

-56.9

34

1,602.6

2

-

합계

19,990

14.0

4,325

-78.4

1,277

15.1

 

자료: KOTIS(MTI 4단위 기준)

 

 ○ 게다가 싱가포르, 태국 등의 다국적 기업이 라오스 팍송 지역의 커피 플랜테이션 농장에 투자해 직접 커피를 재배하는 등으로 보아 우리기업의 라오스 커피 재배업 투자도 유망할 것임.

 

 

자료원: VIENTIANE TIMES, TIME, KOTRA 비엔티엔 무역관 자료 종합

'농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투자사업정보  (0) 2017.06.08
라오스커피농장 임대정보  (0) 2017.06.08
미얀마 커피도시 삐우린  (0) 2017.06.08
작물심는 시기  (0) 2017.04.10
오이타현 그린투어  (0)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