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이의 삶을 이해한다는 것 |
박 원 재(강원대 강사) |
살다 보면 시작된 계기나 취지에 비추어 일이 기대하지 않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그동안 적지 않은 사회적인 관심과 파장을 낳고 있는 미투 운동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지난 1월 서지현 검사의 용기 있는 폭로로 촉발된 이 운동이 목표로 하는 것은 우리 사회에서 알게 모르게 일상화된 성폭력, 특히 그중에서도 사회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우월한 지위에 있는 남성들에 의해 저질러진 성 폭력의 실상을 고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양성평등을 구현하는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서 검사의 폭로 이후 사회 각 분야에서 그야말로 들불처럼 터져 나온 미투 운동에 대해 많은 시민들이 호응하고 응원을 보낸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이런 기대와 달리 한쪽에서는 미투 운동을 두고 의외의 논쟁이 전개되고 있어 안타까움을 준다. 여성 대 남성이 반목하는 이른바 성 대결로 치닫고 있는 현실을 두고 하는 말이다. 미투 운동의 본질 미투 운동을 성 대결 양상으로 오도하는 이러한 움직임은 당사자인 여성은 물론 남성에게도 결코 득이 되지 않는다. 익히 지적된 대로, 미투 운동의 도화선이 된 성폭력은 본질적으로 성 문제를 넘어 권력의 문제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권력의 문제는 사회적으로 우월한 지위가 있는 자가 자기보다 낮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을 그 지위를 이용해 억압하고, 또 그를 통해 자신의 욕망을 취하는 것이다. 이것은 역사 이래로 시대와 공간을 불문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되어 온 현상이다. ‘권력’이 존재하지 않았던 때와 장소는 없기 때문이다. 다른 이의 삶을 이해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생각이 여기까지 이르면 기다렸다는 듯이 자연스레 떠오르는 질문 하나가 있다. 사람은 다른 이의 삶을 어디까지 이해할 수 있을까? 나를 포함한 한국의 남성들은 같은 시대를 산 여성들의 삶을 어디까지 이해하고 있을까? 딸아이들과 페미니즘이나 미투 운동에 대해 이야기 할 기회가 이따금 있다. 그럴 때면 날을 세우며 현실을 진단하고 비판하는 쪽은 당연히 딸아이들이고, 나는 ‘그래 이해한다! 하지만 그렇다고 남성을 적으로 여기거나 남성문화에 대한 증오를 앞세우면 안 되고 함께 가는 방향을 모색해야 문제가 궁극적으로 해결되는 게 아니냐?’며, 아이들 귀에는 딱 교장 선생님 훈화로 들릴 말만 되풀이 하곤 한다. 이건 결코 가식이 아니다. 증오가 남아있으면 혁명도 부질없다는 것을 믿는 까닭이다. 그러나 나의 이 ‘먹물’로서의 신념은 토론의 막바지에 어김없이 터져 나오는 딸아이들의 한 마디에 무력하게, 아주 무력하게 무장해제당하고 만다. “아빠가 대한민국에서 여자로 살아봤어요?” 이해보다 먼저 공감을 이런 내가 딸아이들의 ‘한’을 ‘이해한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이해했고 또 이해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면, 그것은 아마 마치 이사할 때 좁은 상자에 얼기설기 쑤셔 넣어지는 잡동사니들처럼 ‘내 삶의 틀’ 속에 딸아이들의 ‘한’을 구겨 넣는 데 성공했음을 의미하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것이다. 이것이 이해일까? 이해는 고사하고 상대방 입장에서는 ‘이해당했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 아닐까? |
'세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쓸만한 사람이 꼭 있어야 하는데 (0) | 2018.11.08 |
---|---|
동행 (0) | 2018.10.29 |
플라톤을 읽으며 (0) | 2018.10.02 |
물질을 사랑하면 모든 것을 잃게 된다. (0) | 2018.10.02 |
대왕 프리드리히 2세(2018. 7. 19) (0) | 201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