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6

거친 봄바람

거친 봄바람올해도 화성 배미농장엔 옅은 청색 꽃(큰개불알풀)이 아름답게 피었다. 냉이를 캐러왔건만 거센 봄바람이 불어온다. 산청, 안동, 청송, 의성, 영덕엔 오늘도 방향을 알 수 없는 거친 바람이 불꽃을 실어 훠이~ 훠이~ 날라다니고 있다. 언제 괴물같은 바람이 그치고 순하디순한 단비가 내릴 것인지. 여의도 막장 국개, 정의 상실 이념 판새, 漢族 들개들이 사라지면 금수강산이 돌아올까.까치도 몸이 뜨거워 이곳까지 날라와 목을 축이고 있나? 형님이 멋지게 보수(補修)한 큰 물통. 물을 가득 담아 통곡의 그곳까지 실어 보내면 농가 한채라도 화마로부터 구할수 있겠건만..냉이 캐고 시금치를 따도 마음 편치않은 오늘의 배미농장. 다음주 감자와 쪽파를 파종할 땐 비가 내려 촉촉한 땅을 만질 수 있으면 좋겠다.20..

세상이야기 2025.03.28

서울둘레길 15구간(노을-하늘공원 코스)

서울둘레길 15구간(노을-하늘공원 코스)지난달 2월 16일 고덕산 코스를 걷고 거의 한달 5일이 지난 오늘, 둘레길 15구간(노을-하늘공원 코스) 약 8Km를 걸었다. 오늘 걸음은 좀 특별하다. 본격적인 봄을 맞이하여 한양의 봄꽃들이 움트는 모습을 보는 걸음 후 난지캠핑장에서 저녁노을을 감상하면서 저녁식사를 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우리가 준비한 도구와 식자재로 직접 요리하여 먹는 기쁨을 맛보기로 한 것이다. 이미 경험이 있는 희수가 거의 모든 준비를 했다. "오늘 걸음은 미세먼지가 좀 있으니 마스크를 준비하면 좋겠다"는 수명대장의 사전 공지에 희수는 "트레킹 종착점인 증산역에서 지하철로 월드컵경기장역 1번 출구에 있는 홈플러스로 이동하여 캠핑 때 먹을 음식물(소불고기, 삼겹살, 라면, 김치 등)을 사서 ..

즐거운산행 2025.03.22

능파대(凌波臺)

능파대(凌波臺)TV에선 연일 美의 관세정책으로 많은 나라가 긴장하고 있고, 국내에선 여러 범죄혐의로 재판중인 당대표 방탄을 위해 난폭하게 휘두른 줄탄핵이 모조리 기각되고 있다는 보도가 계속되고 있다. 어지럽고 정상적이지 않은 세상사이지만 위기속 기회가 공존하고, 전쟁 후 평화가 찾아들 것 같은 느낌도 든다. 오늘에야 삼척 능파대(추암 촛대바위)에 왔다. 지난 해 11월 28일 첫눈(初雪)이 내렸을 때 이유를 알 수 없는 공허한 마음에 단원이 화폭에 담았던 이곳을 찾고 싶었다. 능파대는 지질학적으로 라피에(석회암이 지하수의 용식작용으로 형성된 암석 기둥)가 파도에 의해 자연적으로 물밖으로 드러난 해안 기암지대이다. 세조 때 강원도 체찰사였던 한명회가 이곳을 찾았을 때 하늘로 솟아오른 바위들이 마치 '물결..

여행스케치 2025.03.16

白軒 李景奭

白軒 李景奭'뉴스9'에서 대통령 구속 취소, 석방을 두고 검찰이 즉시 항고하지 않았다고 검찰총장을 공수처에 고발하고 탄핵까지 언급하는 민주당 대표를 보니 뜬금없이 병자호란과 이경석이 떠오른다.인조를 굴복시키고 청의 업적과 영광을 기록한 삼전도 비석의 비문은 당대의 최고 문장가 이경석이 썼다. 역사속에서 그를 바라보는 시각은 여러 갈래다. 난 이경석을 최명길 같은 인물로 본다. 싸우지않고 사는 길, 나라는 잠시 죽어도 백성들이 사는 길, 명분보다 실리를 택했던 최명길과 비슷한 인물. 인조는 청이 요구한 삼전도비를 세움에 있어서 비문은 여러 문장가 중 이경석의 글을 택했다. 그의 문장이 유려했다기보다는 굴욕적인 사실을 기록함에 그의 글에 절제와 순발력이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경석은 심양에서 소현세자를..

세상이야기 2025.03.10

서울둘레길 6구간(고덕산 코스)

서울둘레길 6구간(고덕산 코스)오늘 7명의 친구들과 20일만에 둘레길을 걸었다. 회사 큰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치고 다소 시간적 여유가 생긴 기웅(기웅사장은 지난 북한산 둘레길에서 휴대폰 분실 소동을 일으켜 잊을수 없는 추억을 선사해주었다)이가 함께 해서 의미가 더 컸다. 고덕산 코스는 광나루역~한강공원~암사동 선사유적지~고덕산~샘터공원~고덕역까지 약 9.3km의 거리다. 이 구간은 '한강을 따라 펼쳐지는 역사길'이라는 테마로 비교적 평탄한 지형으로 구성되어 트레킹하기에 가벼운 코스이다. 입춘이 지난지 12일 째, 광진교 아래 한강 얼음이 부서져 물위로 떠다니고 이름모를 물새들도 봄의 기운에 무리지어 힘차게 날고있다. 광장동과 천호동을 이어주는 광진교(廣津橋)는 1936년에 건설되어 수차례 철거 및 신..

즐거운산행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