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만든 중국어단어 와세이캉고 일본이 만든 중국어단어 와세이캉고(和製漢語わせいかんご) 민족(民族), 민족주의(民族主義), 문화(文化)、경제(経済)、종교(宗教)、철학(哲学) 등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한자어들은 모두 일본에서 도입된 어휘다. 동아시아에서 일본이 먼저 서구문물을 받아들여 이를 내재화하면서 개.. 세상이야기 2018.12.25
역사 관광자원이 된 키리시마 역사 관광자원이 된 사카모토료마(坂本龍馬)의 로맨틱한 키리시마(霧島)여행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150주년인 2018년에는 지자체별로 이를 기념하는 행사가 아주 다채롭다. NHK에서는 사쯔마의 영웅 사이고타카모리를 주인공으로 하는 세고돈(西郷せごどん)이란 장편 드라마도 방영한다.. 세상이야기 2018.12.25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을 소개한 모리오가이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Vom Kriege)을 소개한 메이지의 수퍼 엘리트, 모리오가이(森鷗外) 일본 메이지 육군 군령의 아버지라 불리는 카와카미소로쿠(川上操六)는 보불전쟁이후 군제를 프랑스식에서 독일식으로 개편하면서 몰트케의 전략을 연구하다 그 배경이 되는 클라우제비츠(Karl von Cla.. 세상이야기 2018.12.25
작전의 신으로 불린 메이지 최고의 군략가 카와카미소로쿠(川上操六), 작전의 신으로 불린 메이지 최고의 군략가 메이지시대 일본군부 구성을 보면 육군은 쬬슈번 해군은 사쯔마번이라고들 한다. 사쯔마번이 육군에서 우위를 놓치고 대신 해군에서 우위를 점한 결정적인 이유는 세이난 전쟁에서 사쯔마의 사이고타카모리가 패해.. 세상이야기 2018.12.25
나루토 포로수용소에 울려 퍼진 환희의 송가 나루토(県鳴門) 포로수용소에 울려 퍼진 환희의 송가(Ode an die Freude) 1918년 6월1일 베토벤의 제9번 교향곡 환희의 송가 선율이 지금의 시코쿠 토쿠시마(徳島)현 나루토(県鳴門)시에 있는 반도(板東ばんどう)포로수용소에 울려 퍼졌다. 독일병사들이 일본에서 최초로 전곡을 연주했으니 아.. 세상이야기 2018.12.25
조림사업으로 시대를 움직였던 도쿠라쇼자부로 조림사업(造林事業)으로 시대를 움직였던 도쿠라쇼자부로(土倉庄三郎どくらしょうざぶろう) 긴키지방부터 큐슈에 이르기까지 일본전역의 숲은 상당히 울창하다. 잘 가꾼 일본의 숲에서 가장 대표적인 수종은 삼나무(杉)인데 그 중에서도 명품이 나라현의 요시노스기(吉野杉よしのすぎ.. 세상이야기 2018.12.25
삼궤구고두를 물리친 소에지마타네오미 삼궤구고두(三跪九叩頭)를 물리친 소에지마타네오미(副島種臣)의 기개(氣槪) 중국 수저우의 명찰(名刹) 한산사(寒山寺)와 관련된 유명한 당시(唐詩)로 장계(张继)의 풍교야박(枫桥夜泊)이라는 작품이 있다. 서기 755년 안사의 난(安史之乱)이 발생하자 당현종은 피신했고 장계를 포함한 많.. 세상이야기 2018.12.25
메이지유신의 지사 타카스 기신사쿠 “날개가 있다면 천리 밖을 두루 날고 싶다”고 했던 타카스기신사쿠(高杉晋作) “翼あらば 千里の外も飛めぐり よろつの国を見んとしそ おもふ”(날개가 있다면 천리 밖을 두루 날아가 여러 나라들을 보고 싶다). 막부말기 바람처럼 살다간 메이지유신의 지사 타카스기신사쿠(高.. 세상이야기 2018.12.25
100년전 상해 아쿠타가와류노스케(芥川龍之介)가 100년 전 거닐던 상하이는? 일본의 문호 아쿠타가와류노스케(芥川龍之介あくたがわりゅうのすけ)는 라쇼몽(羅生門らしょうもん)이란 소설로 국내에는 제법 알려져 있다. 일본 순문학을 대표하는 아쿠타가와는 중국문학 매니아 이기도 했다. 어려서부.. 세상이야기 2018.12.25
어김없이 반복되는 역사, 일본의 탈아입구 어김없이 반복되는 역사, 일본의 탈아입구 구한말 조선 주변의 역사가 반복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150년전 메이지 유신으로 근대국가를 건설한 일본은 청조, 제정러시아와 전쟁을 벌여 승리했다. 오늘날 일본은 중국과 남지나해에서 치열한 영유권 분쟁을 벌이.. 세상이야기 2018.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