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카미의 사케 무라카미(村上)의 사케(鮭) 겨울에 강원도에서 볼 수 있는 황태덕장의 풍경과 비슷해 보이는 일본의 풍경을 들자면 단연 니이가타현(新潟県) 북부의 무라카미시(村上市)다. 이곳을 대표하는 먹을거리는 사케(鮭サケ:연어)다. 일본어로 연어는 술(酒)을 의미하는 사케와 발음이 같다. 사케(.. 세상이야기 2019.01.06
건국에대해 생각해본다..(2019. 1. 5, 토) 건국에대해 생각해본다..(2019.1. 5, 토) 지금의 중국대륙 크기는 마지막 왕조 淸때 만들어졌다. 희토류를 비롯한 다양하고 엄청난 지하자원을 가진 중국영토의 건설자는 만주족(여진족)이었다. 우리에겐 후금을 건국한 누루하치, 그의 8번째 아들 청태종(홍타이지)이 귀에 익숙하다. 무역상.. FB단상 2019.01.05
무사도를 세계에 알린 니토베아나조 ‘Bushido(武士道), The Soul of Japan‘을 세계에 알린 니토베이나조(新渡戸稲造) 영어로 ‘부시도(Bushido)’라고 하면 영어권의 웬만한 식자층은 모두 이해할 정도로 세계화된 일본어다. 이 단어를 세계에 알린 이는 일본의 옛 지폐 5천엔권의 인물인 니토베이나조(新渡戸稲造)다. 1862년 모리오.. 세상이야기 2018.12.25
노기마레스케, 군신인가 무장인가? 노기마레스케(乃木希典), 군신(軍神)인가 우장(愚将)인가? 1912년 9월 13일 메이지천황(明治天皇)의 장례식 날 노기마레스케(乃木希典)대장(大將) 부부도 따라서 목숨을 끊었다. 소설가 나쯔메소세키(夏目漱石)는 코코로(こころ)에서 “메이지의 정신은 메이지 천황과 함께 끝났다고 등장인.. 세상이야기 2018.12.25
노기마레스케의 무사의 정 노기마레스케(乃木希典)의 무사의 정(武士の情け) 水師営の会見 旅順開城約成りて 敵の将軍ステッセル 뤼순요새의 문을 열게 된 적의 장군 스테셀 乃木大将と会見の 所はいづこ、水師営 노기장군과 만난 장소가 어디 인고 하니 수사영 庭に一本なつめの木 弾丸あともいちじる.. 세상이야기 2018.12.25
일본의 사과, 히노코로모 히노코로모 (緋の衣ひのころも), 사무라이들이 사과나무를 심은 까닭은? 일본 토호쿠(東北とうほく)지방 특히 홋카이도 바로 아래 아오모리, 후쿠시마등은 사과의 주산지다. 특히 아오모리는 예전에 한국의 농업관련부서에서 사과농사와 관련해 연수를 갔던 곳이다. 그런데 토호쿠 지방.. 세상이야기 2018.12.25
폴란드의 일본문화 매니아 아시엔스키 폴란드의 일본문화 매니아, 펠릭스 망가 야시엔스키(Feliks "Manggha" Jasieński) 일본역사나 문화관련 서적에 흔히 등장하는 거대한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를 묘사한 그림은 카쯔시카 호쿠사이 (葛飾 北斎 かつしか ほくさい)가 그린 것이다. 카쯔시카 호쿠사이와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 広重.. 세상이야기 2018.12.25
피우스즈키 형제와 일본의 100년 인연 피우스즈키(Piłsudski)형제와 일본의 100년 인연. 일본 홋카이도와 사할린(樺太일본명 카라후토), 쿠릴 열도 등에 남아 있는 일본의 소수민족 아이누인을 촬영한 오래된 흑백사진들은 사실 한 폴란드인이 촬영해 기록으로 남긴 것이다. 그의 이름은 브로니스와프 피우스즈키(Bronisław Piłsu.. 세상이야기 2018.12.25
망가 골든카무이 망가 골든카무이(ゴールデンカムイ)가 보여주는 문화의 힘 80년대초 패션에 앞서가던 국내 일부 여대생들은 일본의 패션잡지 논노 non-no(ノンノ)를 구해 읽었고 언론들은 왜색잡지가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유행한다고 비난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의외로 논노가 무슨 뜻인지 아는 이는 .. 세상이야기 2018.12.25
일로전쟁의 대전략을 입안한 코다마겐타로 일로(日露)전쟁의 대전략을 입안한 코다마겐타로(児玉源太郎) 일본 메이지 시대의 코다마겐타로(児玉源太郎)는 러시아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 대전략가다. 군인으로서 기본인 전술과 전략을 넘어 전쟁양상의 변화와 국제정세까지 꿰뚫어 봤던 인물이다. 코다마겐타로는 시바료타로(司.. 세상이야기 2018.12.25